몇 해 전 '신진욱' 교수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. 신문 칼럼에서 몇 차례 그의 글을 읽고 나서부터다. 그는 우리가 외면하는 사회문제를 공론장으로 끌고 와, 이것이 우리가 잊지 말고 해결해야 할 핵심 과제임을 환기시킨다. 각종 통계와 연구를 분석하고 사실적 논거를 들어 뿌리 없이 부유하는 담론들에서 진실과 거짓을 추출해낸다. 그의 날카로운 현실 진단은 성실한 연구 작업과 성찰의 결과물인 듯하다.
「그런 세대는 없다」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2zATv/btrJBJ2bIGH/q5DGbcRY1r15MRDIR0KSZ1/img.png)
최근 넘쳐나는 '청년' 담론은
누구에 의해 발화되고, 어떤 필요에 따라 소비되어 왔는가?
기득권 기성세대 vs 희생자 청년세대의 대립 구도는 실제로 그러한가?
'부모보다 자식이 가난해지는 최초의 시대'라는 명제에 무비판적으로 고개를 끄덕여 온 나의 고정관념을 이 책은 단번에 깨뜨린다.
청년 세대 못지 않게 어려움을 겪는 노인층의 빈곤과
모든 세대를 관통하는 부동산 계급사회,
갈수록 심화하는 청년세대 내의 양극화 현상을 뒷전으로 한 채
세대 간 불평등을 과장해 온 '청년팔이'는
특정세대 공략을 통해 표를 얻고 돈을 버는,
정치권과 기업에 의해 주로 이루어져 온 현상이었음을
저자는 통계와 사실에 근거해 밝혀낸다.
담론 이면의 허상과 실체를 밝히고
우리 사회가 가야 할 방향과 필요한 정책을 짚어주는
학자의 가치와 역할에 대해서도 곱씹어보게 되는 책이었다. ♠
'自由人 > 책과 영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헬레나 노르베리 호지「로컬의 미래」(2018) (0) | 2022.08.27 |
---|---|
최지웅「석유는 어떻게 세계를 지배하는가」(2019) (0) | 2022.08.25 |
냉정과 열정사이 (0) | 2022.08.10 |
박완서,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 (0) | 2022.08.06 |
김대중 자서전 (0) | 2022.07.24 |
댓글